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공의 전문의 차이 무엇?

반응형

보건복지부는 지난 2월 19일기준 전국 주요 100개 수련병원을 점검한 결과, 이들 병원 소속 전공의의 55% 수준인 6415명의 전공의가 사직서를 제출했다고 20일 밝혔는데요 이처럼 정부에서 의대 증원 발표이후 전공의들이 병원을 떠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전공의가 도대체 무엇일까요?

 

의사는 어떻게 될까?

일반의는 의과대학이나 의과전문대학원을 졸업하고 의사 국가고시 시험에 합격해 의사면허를 취득한 자를 일컫는 말입니다. 의과대학은 의예과 2년과 의학과 4년을 다녀 총 6년의 학교생활을 해야 하며 의과전문대학원은 총 4년의 기간을 거쳐 졸업을 하게 됩니다

 

전공의 이전에 인턴이라는 과정이 있습니다. 인턴은 아직 전공이 정해지지 않은 기간이기 때문에 수련의라고도 부르며 여러 과를 약 1달간의 기간 동안 돌아가면서 경험하게 되고 자신의 전공을 정하게 됩니다.

 

반응형

 

 

레지던트 전공의란 의사 면허를 취득한 후 원하는 전공을 선택하여 해당 과에서 전문적인 실무 교육을 받는 의사를 말합니다. 레지던트 전공의는 수련의(인턴)를 거친 후 전공의 시험을 통과해야 합니다. 전공의 시험은 매년 12월에 있습니다. 시험 과목은 내과, 외과, 소아과, 산부인과 등입니다.

레지던트 전공의의 수료는 전공과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3~4년 정도 걸립니다. 수료 후에는 전문의 시험을 봐서 전문의 자격을 취득해야 합니다. 전문의 시험은 매년 2월에 치러지고 있습니다. 전공과의 이론과 실기를 평가합니다.

레지던트 전공의의 기간 동안에는 병원에서 환자를 진료합니다. 수술을 보조하면서 전공지식을 익히고, 연구나 논문 작성 등의 학술 활동도 하게 됩니다. 레지던트 전공의는 의사로서의 전문성을 키우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전문의는 의사면허를 취득하고 인턴, 레지던트 과정을 모두 거쳐 전문의 시험에 합격한 자를 일컫습니다. 우리가 직접 마치는 의사들은 이 전문의의 비중이 가장 높습니다. 또한 이 전문의 합격 후 바로 개원을 하는 비율이 가장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1단계
의과대학 6년 or 타 전공 4년 +의학전문대학원 4년
2단계
의사 국가고시
3단계
일반의
4단계 ~7단계
수련의 -> 전공의 -> 전문의

 

정리하자면 이렇습니다 추가로  레지던트를 마친 후 대학병원에서 계속 근무하게 되면 전임의(=펠로우)가 됩니다. 전임의나 펠로우는 거의 동일한 용어로 보셔도 됩니다. 전임의가 되면 해당과를 어느 정도 이끌어가는 과장 이상의 직급 또는 팀장의 직책이지만 아직 위에 교수님들이 계셔서 교수님들의 지시를 듣기도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