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중위소득 100% 기준 관련 내용을 알아보는 분들이 많습니다. 아무래도 코로나 지원금과 청년 지원금에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매년 최저 임금이 바뀜에 따라서 기준 중위소득도 달라지게 됩니다. 오늘은 중위소득이란 무엇인지 알아보고 100% 기준에 대한 정보를 공유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중위소득 100%는 여러 정부 지원 정책을 받을 때 중요한 기준이기 때문에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정보입니다.
중위소득 이란?
기준 중위소득이란, 나라에서 복지 지원 등을 할 때 그 기준이 되는 잣대(지표)로써, 대한민국의 모든 가구를 소득 순으로 순위를 매긴 다음,정확히 그 중간에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을 계산해낸 값으로 이를 '기준 중위소득' 또는 '기준 중위소득 100%'라고 말합니다.
중위소득은 어떻게 정해질까?
해마다 우리나라 GDP는 변경됩니다. 가구 소득도 매년 달라지죠. 정부에서는 보건복지부 주도로 여러 경제지표를 반영해 소득기준을 결정합니다.
매달 변동되는 소득을 매번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우리는 다음 해에 적용할 기준을 당해연도에 결정하고 있습니다. 즉 2023년도에 적용되는 기준은 22년 8월쯤 공표된 것이고 그것이 23년 1월 1일부터 적용되고 있습니다.
중위소득 계산방법
금액을 먼저 파악을 했다면 소득금액을 계산하려면 비율을 곱하면 됩니다
. 정부에서 지원하는 정책 중에서 소득요건을 살펴보면 '기준 중위소득 30%', '50%', '60%', '100%' 등이 있는데, 이건 중위소득에서이 비율만큼 곱하면 되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1인가구의 23년도 중위소득은 2,077,892원인데 중위소득 30%를 적용하면, 623,368원이 됩니다.
앞서 말했듯이 기준 중위소득은 저소득이면 저소득일수록 지원에 차등을 두기 위함이기 때문에 소득금액자체의 기준이 굉장히 중요한 지표로 쓰입니다
2023년 중위소득표
2023년 기준 중위소득 100%
2023년
|
기준중위소득
(100%)
|
160%
|
170%
|
180%
|
190%
|
200%
|
1인가구
|
2,077,892
|
3,324,627
|
3,532,416
|
3,740,206
|
3,947,995
|
4,155,784
|
2인가구
|
3,456,155
|
5,529,848
|
5,875,464
|
6,221,079
|
6,566,695
|
6,912,310
|
3인가구
|
4,434,816
|
7,095,706
|
7,539,187
|
7,982,669
|
8,426,150
|
8,869,632
|
4인가구
|
5,400,964
|
8,641,542
|
9,181,639
|
9,721,735
|
10,261,832
|
10,801,928
|
5인가구
|
6,330,688
|
10,129,101
|
10,762,170
|
11,395,238
|
12,028,307
|
12,661,376
|
통상적으로 중산층의 기준을 2023년 기준중위소득의 50%~150%를 기준으로 잡고 있지만, 체감하는 중산층이 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고소득층으로 불리우는 중위소득의 2배 인 200%소득을 올려야 고소득 중산층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4인가구의 경우 약 월평균 세전 1080원의 소득 그러니까 약 연봉 1억2천만원 정도를 부부합산(외벌이, 맞벌이 포함)으로 벌어야 가능한 수치 입니다.
물가는 오르고 임금인상은 더딘 시기에 불경기가 한창이니 국민들이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는 시기입니다. 국가에서 지원하는 복지 정책을 공부해서 받을 수 있는 혜택을 모두 챙길 수 있길 바랍니다.